반응형 알고리즘2 [암호화] SHA-256 해시 함수 오늘은 SHA-256 해시 알고리즘을 다뤄보려고 한다. 암호화에 대한 기본 개념은 이전 글을 참고 바랍니다. 2022.11.28 - [알고리즘] - 암호화 암호화 서비스를 제작할 때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누구나 접근 가능한 서버와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도록 암호화를 한다. 또 로그 파일이나 DB corinprodo.tistory.com 아래 사이트를 참고했다. http://wiki.hash.kr/index.php/SHA256 SHA256 - 해시넷 SHA-256은 SHA(Secure Hash Algorithm)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서 256비트로 구성되며 64자리 문자열을 반환한다. SHA-256은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2022. 12. 28. 암호화 서비스를 제작할 때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는 많이 있다. 누구나 접근 가능한 서버와 통신을 하는 경우 통신 과정에서 데이터를 노출하지 않도록 암호화를 한다. 또 로그 파일이나 DB에 개인정보를 저장할 경우에도 마스킹을 하거나 암호화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처럼 서비스에서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암호화 알고리즘을 직접 개발하지는 않더라도 각 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어떤 암호화 알고리즘 모듈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과 선택이 필요하겠다. 그래서 간단히 KISA에서 소개하는 암호화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다. KISA는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로 준정부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이다. https://seed.kisa.or.kr/kisa/int.. 2022. 11.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