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EAN2

[Spring] static method VS bean 사실 이번 주제는 잘못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유는 우연히 Spring Resttemplate 클래스에 관한 아래 글을 접하고 단순히 static으로 선언하는 것과 bean으로 선언하는 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정도로 생각하고 구글링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https://brocess.tistory.com/265 [ Springboot ] RestTemplate 객체 생성으로 인한 성능 저하 사례 해당 글은 '실무로 배우는 시스템 성능 최적화' 책의 내용을 발췌한 내용입니다. 최근 해당 책을 읽다가 이전에 내가 했던 고민과 비슷한 사례에서 비롯한 성능 저하 사례가 있어 포스팅 해본다. brocess.tistory.com 관련된 많은 글을 찾아보면서 내린 올바른 질문의 결론은 바로 ' Java static.. 2022. 12. 31.
[Spring] 싱글톤 컨테이너 오늘은 지난 Spring Bean 글에 이어서 Spring의 핵심 원리인 싱글톤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보겠다. (지난 글 : 2022.12.17 - [언어] - [Java] static) [Java] static 지난번 글에서 Spring의 Bean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살펴보았는데, 이번에는 Java에서 쓰이는 static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음번 글을 통해 util을 static method로 만들어 사용해야 할지 아니면 spring bean corinprodo.tistory.com 아래 링크에 잘 정리되어 있어 참고했다. https://velog.io/@syleemk/Spring-Core-%EC%8B%B1%EA%B8%80%ED%86%A4-%EC%BB%A8%ED%85%8C%EC%9D%B4%EB%84%8.. 2022. 12. 21.
반응형